드라마 *‘이혼보험’*이라는 개념을 현실적인 보험상품으로 풀어낸 흥미로운 사례로 실제 해외 사례와 보험업계의 반응까지 포괄적으로 다룬 기사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봅니다.
📺 드라마 '이혼보험'과 실제 상품 가능성
✅ 드라마 개요
- tvN 드라마 <이혼보험>: ‘플러스손해보험’이라는 가상의 보험사에서 이혼보험을 기획·개발하며 벌어지는 이야기.
- 핵심 아이디어: 결혼 실패 시 위자료, 생활비 등을 보장해주는 보험.
🇺🇸 실제 있었던 미국판 이혼보험 사례
🏢 회사명: SafeGuard Guaranty
- 2010년 미국에서 ‘이혼보험’ 단일 상품을 내놓은 스타트업.
- 보험료: 연 $1,900 (약 270만원)
- 보장금액: 이혼 시 최대 $12,500 (약 1,773만원)
- 지급 유예 기간: 가입 후 4년 이내 이혼 시 보험금 지급 안 됨.
❌ 실패 이유
- 보험료 대비 실익 부족
- 모럴 해저드 우려: 진짜 이혼을 유도할 수 있음
- 4년 유예기간에도 ‘신뢰 없는 커플’만 가입
- 소수만 관심 → 시장 축소 → 2년 만에 폐업
📉 현실적 한계: 보험상품으로서 ‘이혼보험’의 어려움
📌 1. 보험의 기본 원칙 위배
- 보험은 **‘우연성’**에 기반해야 함.
- 이혼은 사람의 의지나 행동에 따라 발생하므로
- 보험사고로 보기 어려움.
📌 2.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
- 보험금 수령을 목적으로 이혼을 유도할 우려 있음.
- 실제 이혼 사유의 판별이 어려움.
📌 3. 사회적 수용성
- 이혼보험이 이혼을 장려한다는 윤리적 논란 발생 가능성.
- 가족 해체를 전제로 한 상품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 존재.
🧡 반대로 시도된 ‘결혼유지보험’
📍 사례: 삼성생명 ‘사랑의 커플보험’ (2003)
- 세계 최초 결혼유지형 보험
- 혜택: 결혼기념 축하금, 자녀 출산 축하금, 만기 보너스 등
- 이혼 시 불이익: 환급금 감소 + 기금 전환 + 기부 시스템
📉 왜 사라졌을까?
- 시장 반응 저조, 상품 이해도 낮음
- 사생활 침해 우려, 민감한 주제라는 인식
🔍 결론: 이혼보험의 미래?
- 기술적으로는 상품 설계 가능 (통계/계약구조상)
- 윤리적, 사회적, 실익 측면에서 넘어야 할 벽이 큼
- 오히려 “결혼 유지에 대한 보상” 방식이 더 현실적이나
- 여전히 시장성과 수용성에서 한계 존재

tvN 드라마 이혼보험 포스터 캡쳐./사진=tvN
[첨부 : 관련기사및 주요내용]
미국서 출시됐지만 보험료 대비 실익 적어
'이혼할 사람만' 가입…모럴 해저드 우려↑
결혼 유지하면 혜택 '커플보험' 실험 사례도
최근 보험업계에서 화제인 '이혼보험'이라는 드라마 들어보셨나요? '플러스손해보험'이라는 회사의 혁신상품개발팀이 이혼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입니다. 이 드라마의 이혼보험, 실제 보험사가 내놓을 수 있는 상품 맞을까요?
이혼보험은 결혼 생활이 끝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혼 후 생활비 지급은 물론 법원 판결에 따른 위자료 지급을 보장해주는 보험이 플러스손해보험의 이혼보험 상품입니다.
미국에서 내놨다 2년 만에 사라져
실제 미국에서는 이혼보험이 출시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왜 보험시장이 실패하는지를 다룬 '리스키 비즈니스'(리란 아이나브·에이미 핑켈스타인·레이 피스먼 저)에는 2010년 '세이프가드 개런티(SafeGuard Guaranty)'라는 이혼보험만을 운용하는 보험 스타트업을 창업했던 존 로건이라는 사업가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뉴욕타임스는 이 보험을 다루면서 보험 가입 후 10년 만에 이혼한 부부라면 매년 보험금을 납부하는 대신 같은 액수의 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낫다고 분석했습니다. 수익성은 보험금보다는 적겠지만, 보험을 들지 않더라도 재정적인 타격이 크지 않다는 게 이유였죠. 그리고 이혼보험을 들어 놓고 이혼을 하지 않는 부부라면 결혼 유지 기간이 길수록 은행의 이자 수익을 노리는 것이 훨씬 낫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처·아들 사망에…전처 사망보험금은 누구?
보험수익자 보험 존속 중 사망 시 계약자가 수익자 재지정 가능계약자 재지정 않고 사망 시 수익자 상속인이 수익자로🔍 사건 요약보험계약 내용피보험자 : B씨 계약자 : B씨 사망 수익자 :
gombu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