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곰바이보험하늘(보험과 복지의 정보 공유)
복지와 장례

한국 사회, ‘노인 연령’ 재정의가 필요한 때

by 곰바이GOMbuy 2025. 4. 27.
반응형

1.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제도의 한계

2024년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공식적으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은 2045년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37.3%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법정 노인 연령은 여전히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 기준인 65세에 머물러 있다. 당시 국민 기대수명은 66.7세였지만, 2023년 현재 기대수명은 83.5세로 16.8세나 늘어났다.

이는 사회 전반의 건강수명 역시 대폭 연장되었음을 의미한다.

2. 시민이 생각하는 ‘노인’은 몇 살부터일까?

설문조사 결과

  • 헤럴드경제가 실시한 설문조사(응답자 336명)에서는 **34.2%가 '75세 이상'**을 노인으로 여겼다.
  • 70~74세를 노인으로 본 응답자도 **31.6%**에 달했다.
  • 반면 현재 법정 기준인 65세를 노인으로 인식한 사람은 **21.4%**에 불과했다.

또한 서울시의 2024년 서울서베이 조사에 따르면 서울 시민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평균 시작 연령은 70.2세였다.

특히 세부 응답에서는:

  • 70~74세(51.7%)
  • 75세 이상(23.3%)
  • 65~69세(18.1%)

로 나타나, 사회적 인식은 법정 기준보다 최소 5~10세 정도 높아진 상황이다.

3.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과제: 정년 연장과 경제활동

빠르게 증가하는 고령 인구 속에서,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 전체 응답자의 **87.8%**가 정년 연장에 찬성했다.
  •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92.7%**가 정년 연장에 찬성했다.
  • 은퇴 적정 시기로는 65~69세를 가장 많이 꼽았다(40.5%).
  •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는 월 25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이 **53.3%**에 달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에 대한 필요성과, 복지 부담을 완화할 제도적 뒷받침을 요구하는 신호로 읽힌다.

4. 노인 연령 상향 논의: 왜 필요한가?

1. 경제활동 인구 감소 완화

노인 기준을 상향 조정하면, 노동시장에 남아 활동할 수 있는 인구층이 자연스럽게 늘어난다.

이는 급격한 생산가능 인구 감소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복지 재정 부담 경감

기초연금, 건강보험, 돌봄 서비스 등 국가 복지 지출이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것을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다.

3. 현실성 있는 기준 반영

현재 건강수명과 사회참여도 수준은 40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 연령 기준 역시 변화된 현실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5. 그러나, 신중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노인 연령 상향이 단순히 ‘수치 변경’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 노인 빈곤율

한국은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나라다.

노인 연령 기준을 올리면, 이미 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내몰릴 수 있다.

  • 복지혜택 축소 문제

기초연금, 각종 노인복지 혜택은 연령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들에게만 주어진다.

기준이 조정될 경우 일정 기간 동안은 별도의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 국민연금 개혁과 연계

노인 연령 조정은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보험료 납부 기간 등 연금제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사회적 합의와 제도 설계

충분한 사회적 논의 없이 강행할 경우 심각한 세대 갈등과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고령층의 심리적 박탈감을 최소화하는 세심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결론: '100세 시대', 노인 기준 재정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

노인 연령 조정 논의는 이제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하지만 변화는 반드시 사회안전망 강화와 연착륙 전략을 동반해야 한다.

  • 건강하고 경제활동이 가능한 고령층에게는 일할 기회를 넓히고,
  • 어려움에 처한 노인들에게는 더 촘촘한 복지 지원을 보장해야 한다.

100세 시대의 새로운 사회계약(Social Contract)이 필요한 때다.

‘몇 살부터 노인인가’라는 질문은 단순한 통계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가 어떤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요구하고 있다.

반응형